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해외 [싱가포르] 장애예술 – 장애가 아닌 우리의 예술을 보라

  • 등록일 2022-05-10
  • 조회수240

[싱가포르] 장애예술 – 장애가 아닌 우리의 예술을 보라

 

2022년 3월 5~6일, 온라인 포럼 ‘장애 예술: 한국과 싱가포르의 비평적 대화’가 진행됐다. 이 행사는 아츠이퀘이터(ArtsEquator, 싱가포르의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 이퀄 드림스(Equal Dreams, 장애인 예술가 협력 단체), 최태윤 스튜디오가 주최했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0-2021 한국-싱가포르 문화예술 교류 협력 프로그램이 후원했다. 싱가포르 및 한국 수어 통역과 한국어 및 영어 자막이 제공되는 전체 영상도 볼 수 있다.

 

아래 기사(일부)는 위 행사의 한 꼭지인 ‘우리가 없으면 우리에 대한 것도 없다: 목소리를 만들어 내는 예술가들’에 대한 글로, 아이작 림(Isaac Lim, 2개 국어를 구사하는 작가이자 퍼포머, 휠체어 사용자)이 썼다.

 

‘우리가 없으면 우리에 대한 것도 없다: 목소리를 만들어 내는 예술가들’

 

* 2022년 3월 5일 토요일, 2pm - 3.45pm (싱가포르) / 3pm - 4.45pm (한국)

* 진행 : 최태윤

* 패널

- 다니엘 바우탄 윌스미스(Danial Bawthan, 음악프로듀서, 공연예술가) /싱가포르

- 노경애(안무가, 연구자, 예술교육자) /한국

- 클레어 테오(Claire Teo, 예술가) /싱가포르

- 전경호(시각장애 사운드 아티스트) /한국

 

▶ 영상 보기 : 바로가기 (링크)

 

○ 있고/없는 꼬리표: 우리는 여전히 우리인가?

몇 명의 패널리스트가 제기한 시의 적절한 사항 중 하나는 꼬리표의 문제였다. 장애인에게 어떤 꼬리표가 붙는지가 중요한가? 우리 스스로에게 어떤 꼬리표를 붙여야 하며, 이런 꼬리표는 우리와 우리 작품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장애가 없었다면 작품의 의미가 덜해졌을까? 예를 들어 다니엘은 자신의 작품을 장애로 정체화하거나 연결 짓고 싶지 않다고 했다. 왜냐하면 “대중에겐 상관없는 문제” 이자 “꼬리표가 낯섦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나는 꼬리표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 그 긍정적인 면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웠다. 특히 상업적 측면에서의 꼬리표는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할지도 모른다.

 

○ 다양한 기량(abilities)과 장애(disabilities): 모두를 위한 무대

이런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장애인이 예술 작품을 만드는 유일한 방법은 적응밖에 없는가? 내 대답은 그렇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는 것이다.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는 말이 있지만, 두 발이 맞아도 되고, 한 손과 한 발이 맞아도 된다. 장애 예술가의 작품은 온전히 그의 것이며, 제작자나 관객에 맞춰 적응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장애인이 원래 주어진 역할이 아닌 것을 수행해야 한다면 적응이 필요하다. 사회로부터 배운 것이 있다면 유연하게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예술가는 그래야 한다.

 

○ 작품의 완성도: 과연 누구의 기대인가?

양국의 장애 예술 현장은 여전히 성장, 발전 중이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일부 작품이 다른 작품만큼 다듬어지지 않을 수 있다. 어떤 형태로든 아마추어로 간주되는 작업은 항상 있지만 작업 과정, 자금 및 자원, 관객 교육을 포함하는 더 큰 대화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작품을 통해 의견을 표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그리고 관객이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선입견 없이 보고 듣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이 장을 더 평평하게 만들고, 창작 과정을 개선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 장애 예술가와 예술 단체가 이러한 모든 영역의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앞으로 나아가기: 여기 있는 우리를 보라

장애 포용성과 예술의 다양성에 관한 대화와 관심이 최근 몇 년 동안 증가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최근 장애를 갖게 된 사람으로서, (나는 2019년 말에 휠체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싱가포르에서 계속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 (극작가이자 퍼포머였다)이 행운으로 느껴진다. 지난 몇 년 동안 팬데믹임에도 불구하고 이 나라에서 장애 주도적, 포용적 예술이 증가한 것을 목격했다. 장애에 대한 사회적 시각은 느리지만 그래도 바뀌어 가고 있다.

 


▶ 이 기사의 국문 번역 페이지(영/한 번역_강민형) : 바로가기 링크

▶ 이 기사의 영어 원본 페이지 : 바로가기 링크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 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