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해외 [영국] [설문조사]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이후의 장애인 접근성 부족에 대한 핵심 결과

  • 등록일 2022-04-22
  • 조회수321

[영국] [설문조사]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이후의 장애인 접근성 부족에 대한 핵심 결과

장애인 엑세스 자선 단체인 유안가이드(Euan's Guide)의 새로운 연구는, ‘장애인의 59%가 코로나19가 장애인 접근성을 더 나쁘게 만들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2,400명 이상의 장애인과 그들의 친구, 가족 및 돌봄 인력을 대상으로 한 연례 접근성 조사의 최근 결과에 따르면, 장애인들이 어느 장소를 방문할 때 가장 크게 우려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사회적 거리두기를 존중하지 않는 장소/공간/사람들 (75%)

-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들 (68%)

- 화장실 폐쇄 (68%)

응답자들이 장소를 더 안전하고 쉽게 방문하기 위해 제안한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 장애인이 독립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접근 가능한 경로 제공 (67%)

- 사회적 거리두기를 장려하는 명확한 표시 (61%)

- 직원 및 방문객의 마스크 착용 (53%)

장애인이 야외를 방문할 가능성이 더 높고(55%) 실내 행사에 참여하거나(61%) 실내 명소를 방문(49%)할 가능성이 낮다는 점도 놀랄 일이 아니었다.

유안가이드의 공동 설립자인 유안 맥도널드(Euan MacDonald)는 말한다.

“우리는 장애인들이 영국에서의 장애인 접근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사를 시작했고, Motability Operation(이동 장치 제공 업체)의 지원을 받아 장애인의 목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었다. 팬데믹은 특히 장애인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응답자의 대부분은 코로나19로 인해 장애인 접근성이 더 나빠졌다고 생각했으며, 우리는 지속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및 접근 가능한 화장실 이용에 대한 우려를 듣고 있다. 하지만 재택근무와 원격교육, 더 많은 장애인들이 접근 가능한 행사와 공연, 온라인 상영과 같이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된 것도 있다.”

설문조사는 장애인의 접근성에 대한 의견도 전반적으로 측정했다. 92%의 응답자가 새로운 곳을 방문하기 전 장애인 접근성 정보를 찾으려고 노력한다고 응답했으며, 56%가 장애인 접근성 정보를 얻지 못한 경우 행사장 방문을 피했다. 73%의 응답자는 행사장 웹사이트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혼동되거나 부정확한 정보를 발견했다고 말했다. 접근 가능한 주차와 화장실은 장애인 방문객에게 최우선 순위로 남아있으며, 응답자의 81%와 80%는 각각 그것이 새로운 장소를 방문할 때 마음의 여유를 갖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Motability Operations의 최고 마케팅 책임자인 리사 토마스(Lisa Thomas)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장애인이 걱정 없이 이동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열정을 쏟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를 지원하게 되어 기뻤고, 결과는 긍정적이지만 일부 결과는 약간 실망스럽다. 이 설문조사의 결과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강조하고 실제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유안 맥도널드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가 여전히 해야할 일이 많다는 것을 말해준다. 하지만 우리만으로는 할 수 없으며 당신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만약 당신이 장애인이거나 장애인의 친구 또는 가족 구성원이라면, 더 많은 장애인들이 접근 가능한 장소를 발견할 수 있도록 당신의 접근성 경험을 공유해주길 바란다. 또 만약 당신이 소유하거나 운영, 일하는 행사 장소가 있다면 장애인 방문객을 환영하고 있는지 확인해주길 바란다.”

2021년 접근성 조사에는 2,400명 이상의 의견이 포함되었다. 응답자는 주로 장애인이며 (97%) 나머지는 돌봄 인력, 친구 그리고 의료 전문가였다.


▶ 해당 기사 바로가기(링크)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 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