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해외 [미국] 국립예술기금 : 장애와 평등에 대한 문답

  • 등록일 2021-11-10
  • 조회수416

미국 국립예술기금 : 장애와 평등에 대한 문답

미국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은 1970년대 후반부터 문화 분야의 접근성과 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예술 학습, 예술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장애 예술인을 지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질병 관리 예방 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 따르면 장애인은 인구의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30%는 가족 중 장애인이 있다.

국립예술기금은 "역사적으로 소외되고 불평등을 겪은 유색인종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의 평등을 증진하는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추구"하고 "다양성을 촉진함으로써 미연방의 인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하는 백악관 행정 명령에 따라 자체 정책과 평등을 위한 관행을 들여다보고 있으며 장애와 접근성을 중심에 두고 있다.

또한, 지원금의 형평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국립예술기금은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기관 전반에 걸쳐 장애 포용을 확대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내부적으로 단순히 채용 목표를 달성하는 것 이상으로, 문화와 조직으로서 우리가 누구인지를 구축하는 것 이상의 작업을 모색하고 있다.

2021 국가 장애인 고용의 달(National Disability Employment Awareness Month 2021)의 일환으로 국립예술기금 접근성 사무소의 베스 비엔베뉴(Beth Bienvenu) 국장과 시민권 평등 기회 사무소의 대럴 보건(Darrell Bogan) 국장은 장애와 평등에 대한 문답을 진행했다.

Q: 장애와 접근성은 국립예술기금의 접근성 및 평등 의제에 어떻게 부합합니까?

 

대럴 보건 : 현 행정부가 인종 평등에 대한 행정 명령을 시행했을 때, 우리는 장애가 테이블에 앉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 실무 그룹에 접근성 이사 베스 비엔베뉴를 포함했습니다. 우리는 장애 공동체를 다양성과 평등의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합니다.

베스 비엔베뉴 : 우리는 항상 장애 예술인에 대한 접근성과 지원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미연방정부에서 유일하게 접근성과 장애 예술에 관한 문제에 기술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사무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일 년 내내 직원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있으며, 지원사업을 개선할 방법을 지속해서 평가하고 있습니다. 외부적으로는 지원자와 수혜자에게 기술 지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방 및 주, 지역 예술기관과 봉사단체를 소집하고, 발표 및 교육을 진행하며 예술계와도 교류하고 있습니다. 장애와 접근성에 관한 관심을 내·외부적으로 높이고 전반적인 평등 의제를 실현하려고 합니다.

 

문답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원문 기사 바로가기(클릭)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 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