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텍스트 크기

가

고대비

통합검색

툴팁 텍스트

잠깐! 찾고 싶은 정보와 관련 있는 핵심 단어를 적어주세요.

예시) 장애인예술교육 분야 자료집을 찾고 싶을 땐, "예술교육"처럼 핵심 단어를 적어주세요.

추천 키워드

배리어프리 콘텐츠 검색하기

해외 [영국×인도네시아] 장애예술 국제교류 프로젝트, 프리즘

  • 등록일 2025-09-22
  • 조회수 29

장애예술 국제협업의 새로운 가능성:
족자카르타 디스어빌리티 아트 × 다다 페스트, 프리즘


인도네시아 비영리민간단체 족자카르타 디스어빌리티 아트(Jogja Disability Arts)는 예술을 매개로 장애인의 문화접근성을 제고하고, 국내외적 차원에서 장애예술 창작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20년 설립되었다. 술루 수무룹 페스티벌(Suluh Sumurup Art Festival, 자바어로 밝게 타오르는 횃불, 희망을 비추는 빛을 의미함-편집자주), 족자카르타 장애예술 비엔날레(Jogja Disability Arts Biennale) 사업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의 포용적 문화예술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영국 리버풀 소재 다다 페스트(DaDaFest)는 1984년 설립된 영국 최초의 장애인 주도 예술단체 중 하나로, 격년으로 개최되는 국제장애예술축제 ‘다다 페스트(DaDaFest)’를 기반으로 장애예술 국제교류 네트워크 구축에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특히, 국제협업을 통한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장애예술 창작 방법론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영국과 인도네시아 장애예술을 대표하는 두 기관은 2024년부터 장애예술 국제협업의 본질적 의미를 다양한 층위에서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프리즘 : 장애예술 협업에서 의미의 스펙트럼 이해( PRISM : Understanding The Spectrum of Meaning in Disability Arts Collaborations)’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워크숍에서 프로젝트까지, 
긴 호흡으로 단계적 실천을 지향하는 장애예술 국제교류


프리즘은 참여적 행동 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방법론을 활용, 장애예술인이 연구자이면서 동시에 참여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호학습과 성찰, 장애예술가 정체성과 예술적 경험 공유, 국제협업 아이디어 개발 등의 단계로 확장해갈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그 첫 단계로 2024년 5월 족자카르타와 9월 리버풀에서 ‘바디 매핑 워크숍(Body Mapping workshops)’을 공동 주최하였다. 청각장애 및 난청, 시각장애 예술인들이 함께 참여한 워크숍에서는 드로잉 작업 등을 통해 장애예술가로서의 개인적 삶과 창작 경험, 예술적 지향점을 공유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되었다. 참여 작가들의 창작 결과물은 2024년 술루 수무룹 페스티벌을 포함한 3개의 전시 프로그램, 자카르타 대안공간 디아로그(Dia.Lo.Gue) 및 리버풀 복합문화공간 블루코트(Bluecoat)에서의 토론회 등을 통해 대중에 공개되었다.

 

공감과 연대를 위한 장애예술 국제협업, 
프리즘 프로젝트의 다음 단계


프리즘 프로젝트의 가장 핵심적 요소는 장애예술 국제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장애예술가가 접근이 매우 제한적인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고립된 채 예술활동을 하는 현실을 감안해 보면, 협업은 장애예술가에게 상호 학습, 기술·지식정보 공유를 통해 새로운 창작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기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족자카르타 디스어빌리티 아트와 다다 페스트는 장애예술 국제협업 실행과정에서 참여 장애예술가 상호 간 신뢰관계 구축, 안전한 창작교류 공간 및 환경조성, 예술가의 의사결정 참여 보장 등의 프로세스가 세심하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불어 프리즘 프로젝트는 장애와 예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역사적 배경이 서로 다른 두 나라, 영국과 인도네시아가 함께 추진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족자카르타 디스어빌리티 아트 관계자는 “영국의 장애예술이 강력한 역사적 맥락과 사회적 실천을 통해 발전해온 반면, 인도네시아에서 장애예술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영역”이라고 언급하며, 장애예술 국제협업을 통해 공감과 연대의 힘을 키우고 장애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확산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표명하였다.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협업 기회를 준비하고 있는 프리즘 프로젝트는 2025년 3월, 다다 페스트 40주년 온라인 토크를 통해 리버풀에서의 장애예술 벽화 프로젝트를 제안한 바 있으며, 2025년 10월 개최 예정인 제3회 족자카르타 장애예술 비엔날레 전시 프로젝트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기사 원문 보기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