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 온라인 > 문화소식 이음 온라인 > 문화소식_ > 만선
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소식

연극 만선

만선
2025년 3월 6일부터 3월 30일까지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
작. 천승세
윤색. 윤미현
연출. 심재찬
국립극단

진행예정

만선 간단한 소개 테이블
일정

2025년 3월 6일(목)~3월 30일(일)

관람시간 평일 19시 30분|토·일 15시 (화 공연없음)
입장료 R석 6만원 / S석 4만 5천원 / A석 3만원
장소 명동예술극장 (서울 중구 명동길 35)
예매 국립극단 홈페이지, 인터파크 티켓
주최 국립극단
접근성 정보
SNS

요약설명

만선

기간: 2025년 3월 6일(목)~3월 30일(일)
장소: 명동예술극장
시간: 평일 19시 30분|토·일 15시 (화 공연없음)
티켓: R석 6만원, S석 4만 5천원, A석 3만원
관람시간: 110분(인터미션 없음) *변동될 수 있음
예매: 국립극단 홈페이지(클릭 시 이동), 인터파크 티켓(클릭 시 이동)


주최·제작: 국립극단
문의: 1644-2003

 

접근성 안내
접근성 회차 안내: 3월 22일(토), 3월 23일(일), 3월 24일(월) 총 3회차는 접근성 회차로 운영합니다.


- 음성해설: 음성해설 수신기를 통해 공연 감상에 필요한 정보가 음성으로 실시간 제공됩니다.
- 한국수어통역: 공연 중 수어통역사는 무대를 정면에 두고 무대 오른쪽 가장자리에 고정하여 위치합니다.
※ 접근성 회차의 수어통역사 위치에 따라 일부 대도구 또는 소품 가림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극의 이해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 1층 12열 11번 좌석은 수어통역사 가림이 발생합니다만 수어통역을 제외한 관람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 한글자막해설: 무대 좌우 양쪽에 설치된 두 개의 모니터와 개별 한글자막해설 기기(접근성 회차에 한함)가 모두 제공됩니다.
※ 공연 특성상 자막과 대사 사이에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개별 한글자막해설 기기 좌석에서 관람 시 설치된 자막 기기 위치 조정 및 제거는 불가하며, 자막 기기 사용으로 관람 시 화면 불빛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사전 대본열람: 공연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전 대본열람을 진행합니다.
- 무대 모형 터치투어: 명동예술극장 로비에서 오디오 가이드를 들으며 무대 모형을 직접 만져 보실 수 있습니다.


휠체어석 예매
- 예매방법: 국립극단 콜센터
- 휠체어석 위치: 명동예술극장 무대를 정면에 두고 1층 왼쪽 블록 12열 3석, 2층 중앙블록 후면 5열 6석
- 전동 및 일반 휠체어 모두 앉으신 상태 그대로 관람 가능합니다.
 

자세한 소개

작품소개

"바람타고 파도타고 구름타고 만선타고
젓가락으로 노 젓듯 바람 젓고 구름 젓고 파도 저어가자“


비바람의 검은 바다,
배 한 척이 돌아오지 않았다.

 

뱃사람 곰치. 징소리 울리며 부서 떼 가득 싣고 돌아와 팔자 좀 고치나 했는데 배 빌린 값에 터무니없는 이자까지 더해져 모조리 빼앗긴다. 이대로 다 잃을 순 없다. 다시 한 번 거칠어진 바다를 향해 닻을 올린다. 이번에도 분명히 만선이다.


“뱃놈은 그렇게 살어사 쓰는 것이여!”


“휘몰아치는 무대 위의 파도... 흔들리는 조각배 같은 인생” -동아일보-


삶의 폭풍 속에서도 희망의 그물을 놓지 않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천승세의 〈만선〉이 2025년 국립극단 무대를 연다.
연출가 심재찬의 깊이 있는 해석과 수차례 호흡을 함께 한 창작진의 열정이 더해져 보다 강렬하게 돌아온다.
쏟아지는 비와 거친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에 뛰어드는 배는 만선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물러설 곳 없는 곳에서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이들의 인생 이야기가 펼쳐진다.
 

시놉시스

남해의 어느 작은 마을. 바다에 부서(보구치) 떼가 그득하다는 소식에 뱃사람 곰치는 자신만만하게 배를 띄운다. 드디어 꿈에 그리던 만선으로 돌아온 곰치. 하지만 기뻐할 새도 없이 잡아들인 부서가 모두 빚으로 넘어가고, 설상가상 선주 임제순은 남은 빚까지 갚지 않으면 절대로 배를 내어줄 수 없다고 단언한다. 가난과 불안에 지친 아내 구포댁은 어부 일을 그만두고 새롭게 시작하자고 남편을 설득하지만, 곰치는 다시 한번 만선을 장담하며 아들과 함께 거칠어진 바다로 향하는데...


만드는 사람들

천승세 ㅣ 윤색 윤미현 ㅣ 연출 심재찬

무대 이태섭 ㅣ 조명 신호 ㅣ 의상 최원
음악 김철환 ㅣ 음향 안세운 ㅣ 분장 이동민
소품 정윤정 ㅣ 조연출 강지수 이다예

 

출연
임제순 役_김재건 | 성삼 役_김종칠 | 범쇠 役_박상종 | 곰치 役_김명수 | 구포댁 役_정경순 | 무당, 동네아낙 役_조주경 | 동네아낙 외 役_김경숙 | 마을어부 役_정나진 | 도삼 役_황규환 | 순경 외 役_문성복 | 슬슬이 役_강윤민지 | 연철 役_성근창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 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