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해외 [뉴질랜드] 뉴질랜드 예술위원회, 장애예술 5개년 중장기정책 및 실행계획 발표

  • 등록일 2024-06-13
  • 조회수54

뉴질랜드 예술위원회, 장애예술∙문화접근성 5개년 중장기계획 발표

 

최근 뉴질랜드 예술위원회(Creative New Zealand)가 <장애예술·문화접근성 중장기정책 및 실행계획 The Tapatahi Accessibility Policy and Action Plan 2023–2028>을 발표하였다.

중장기계획은 뉴질랜드 장애예술인 당사자, 장애예술 전문가 등이 참여한 정책자문 그룹과 공동으로 설계되었으며, ‘형평성’ ‘장애예술 리더십’ ‘장애예술의 사회적 가치’ ‘통합적 문화접근성’ 등을 4대 원칙으로 표방하고 있다.

뉴질랜드 장애인문화예술원(Arts Access Aotearoa)의 스테이스 로버슨(Stace Robertson)은 이번 정책이 “뉴질랜드 예술위원회의 중요한 문화적 변화를 보여주는 것과 동시에, 장애예술인에게 새로운 예술적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명하였다. 더불어, 뉴질랜드 예술위원회의 CEO 스테픈 웨인라이트(Stephen Wainwright)는 “계획 수립과정에서 장애예술인 당사자 및 장애예술 전문가들과의 정책적 파트너십이 매우 중요했으며, 이를 통해 뉴질랜드 예술위원회가 보다 포용적이고 접근가능한 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하였다.

 

예술지원제도 접근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변화들

 

예술위원회는 뉴질랜드 장애예술·문화접근성 정책의 2가지 목적을 대내적으로 문화접근성 관점에서 뉴질랜드 예술위원회의 조직 운영을 활성화하고, 대외적으로 뉴질랜드 예술생태계의 문화접근성 활동을 폭넓게 지원하는 것, 다양한 분야 문화예술단체들의 장애예술·문화접근성 관련 인식을 개선하고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출발점을 마련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정책목표에 따라 예술지원제도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책을 실행하고 있다.

∙ 스크린리더와 같은 접근성 기술 등을 활용하여 뉴질랜드 예술위원회 웹사이트 및 지원사업 운영 시스템 전반을 보다 포용적이고 접근성있는 체계로 개편

∙ 장애예술가 포함 지원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에게 지원사업 신청에 필요한 접근성 서비스 지원

∙ 장애예술인 및 단체 대상 지원사업 보조금 외 프로젝트 실행에 필요한 접근성 비용을 제공하는 별도 지원사업 신설

∙ 문화예술 재원조성 전문가들로부터 자문 및 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지원

∙ 예술위원회가 발간하는 연구보고서 및 모든 문서를 쉬운 언어 포함 장애유형별로 접근 가능한 형식의 자료로 지원

 

뉴질랜드 장애예술 중장기정책 보고서 구성 및 주요내용

▸제1장 정책개요

정책의 4대 목표

- 문화예술 정보·서비스·공간 접근성, 지원사업의 포용성 및 공정성, 장애예술인에 대한 존중 뉴질랜드 문화향유자 모두를 위한 문화접근성

∙중장기계획의 수립근거와 정책개발 과정

∙3년 주기, 중장기정책 및 실행전략의 모니터링 및 평가

 

▸제2장 정책의 기본원칙

∙형평성, 장애예술 당사자의 리더십, 장애예술의 사회적 가치, 통합적 문화접근성

 

▸제3장 7대 실행전략

∙장애예술인을 위한 지원사업 접근성 서비스 및 접근성 비용 지원

∙예술위원회 소관 지원사업 운영시스템, 사업추진절차, 문화예술 공간 전반에 대한 접근성 제고

∙예술위원회 발간 자료, 정보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유형별 접근성 지원

∙장애예술인의 정책결정 과정 참여를 통한 협치와 리더십 개발

∙장애예술 창작 활성화, 장애예술인 예술경력개발을 위해 보다 많은 기회 제공

∙중장기정책의 체계적 실행, 평가 환류, 관련 법제도 준수 등을 통한 사회적 책임성 구현

∙문화접근성 관련 예술위원회 내부 구성원 역량강화 및 조직문화 개선

 


[원문 기사] 바로가기

[참고 보고서] 바로가기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 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