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 온라인 > 문화소식 이음 온라인 > 문화소식_ > 시간과 색에 담은 기억
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소식

시각 시간과 색에 담은 기억

윤진석, 임이정 초대전
시간과 색에 담은 기억
윤진석 임이정
2025년 1월 14일부터 2월 1일까지
스페이스 엄 art creation

종료

시간과 색에 담은 기억 간단한 소개 테이블
일정

2025년 1월 14일(화)~2월 1일(토)

관람시간 화~토 11시 ~ 18시 (일, 월, 공휴일 휴관)
입장료 무료
장소 스페이스 엄 (서울시 서초구 남구순환로 309길62)
주관 윤진석, 임이정
접근성 정보
SNS

요약설명

윤진석, 임이정 초대전
시간과 색에 담은 기억
 

기간: 2025년 1월 14일(화)~2월 1일(토)  
시간: 화~토 11시 ~ 18시 (일, 월, 공휴일 휴관)
장소: 스페이스 엄 (서울시 서초구 남구순환로 309길62)

 

스페이스 엄 홈페이지 바로가기(클릭 시 이동)

 

자세한 소개

 

시간과 색에 담은 기억  |  엄윤선 스페이스 엄 대표


윤진석 임이정 두 젊은 작가는 오티즘(자폐스펙트럼)의 특성에 의해 자신만의 독특한 기억을 저장하고 소환하는 방법을 가지게 됐습니다. 윤진석 작가는 머물렀던 장소에 있던 시계를 통해, 임이정 작가는 이미지를 면과 부피로 환산하고 그 위에  색을 입혀 기억을 이야기합니다. 


​구상과 추상, 매우 상반된 스타일을 추구하지만 이 두 작가가 풀어낸 이야기는 모두 밝고 긍정적이며 솔직합니다. 캔버스 위에 다양하게 펼쳐진 고명도 고채도의 컬러가 화면 전체에 생동감과 에너지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두 작가에 의해 창조된 조형과 시너지를 이루며 작품 전체의 분위기를 경쾌하게 만듭니다. 


마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속 원더랜드의 인물과 사물들의 초현실적이고 몽환적인 묘사에 매료돼 듯, 보편적인 시각과 소통방법을 초월한 두 작가가 풀어낸 기억들은 관객들로 하여금 재미와 호기심을 이끌어냅니다. 화면이 다채로울수록 그들이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유추할 수 있지만 복잡하거나 난해하지 않습니다. 화려한 색채와 조형이 미사여구같은 장식과 과장이 아닌, 그들이 살아가며 떠올린 그때 그 장소의 느낌, 생각 그 자체로써 풍부한 감정의 경험을 투명하게 가감없이 표현했기 때문입니다. 면을 쪼개고 대비가 강한 색을 함께 배열한 작업 방법은 자칫 시각적 피로를 줄 수 있으나,  이 시도가  의도된 게 아닌 감정 그대로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시각 언어로 표출한 그들의 내면이 얼마나 열정적이고 적극적인지 이해하게 됩니다.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 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