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한 접근성인가-경험과 문화로 생각하기
부제 : 일본 장애예술 현황과 과제
필자 : 다나카 미유키 큐레이터
[아일랜드] 장애예술 전문 프로듀서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경계와 장벽을 넘어서는, 다정하고 위트 있는 실험
부제 : 부산현대미술관 배리어프리 국제 기획전 《열 개의 눈》
필자 : 김경화 설치미술가
[미국] 케네디센터 부설 접근성 및 장애예술 사무국 2025 장애예술 리더십 국제 컨퍼런스 개최
[호주] 호주예술위원회, 권역별 장애예술지원기관 협의체 〈호주 장애예술 네트워크〉에 4년간 80만달러 지원 결정
“접근성” 아티스틱 리서치랩 아카이브북
[영국] 넷플릭스 학습장애·자폐장애인들을 위한 2년제 공연·영상 창작자 전문교육과정 지원
〈2024 난지액세스: 프리미어〉 12. 김은설
[포르투갈] 아세소 쿨투라, 장애예술‧문화접근성 주제 국제 온라인 교육과정 운영
아픔도 그리움도 넉넉히 안아주는 속초 바다
부제 : 예술가의 여행 레시피⑥
필자 : 남호섭 배우, 소울씨어터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