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22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종료
일정 | 2024년 4월 18일(목)~4월 20일(토) |
|
---|---|---|
입장료 | 무료 | |
장소 | 마로니에 공원(서울시 종로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음홀 (서울 종로구 대학로 112 5층) | |
주관 |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 |
주최 |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 |
접근성 정보 |
![]() |
|
SNS | ||
요약설명
22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 공연기간: 2024년 4월 18일(목)~4월 20일(토)
○ 공연장소: 마로니에 공원(서울시 종로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음홀
○ 주최: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 주관: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 협찬: 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 슬로건 설명
"잊지마! 원래 내꺼야!"
22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는 장애인의 시민권은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원래 장애인의 것이었음을, 더는 미룰 수 없는 권리임을 선언하려고 합니다.
장애인이 가진 시민으로서의 권리는 누가 허락해야 가질 수 있는 권리가 아닙니다. 사회가 모두의 시민권을 당연히 보장해야 하지만, 돈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수십 년간 미뤄온 것입니다.
매일 아침 지하철 승강장에서 장애인의 시민권을 이제 더는 빼앗길 수 없다고 외쳤습니다. 하지만 작년 한 해 동안 서울시의 폭력으로 인해 열차에 탑승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
이제 열차에 타지 못한 장애인들의 빼앗긴 시민권을 되찾겠다 선언합니다. 이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의 나, 나의 권리는 나의 것입니다.
빼앗아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시민의 권리, “잊지마! 원래 내꺼야!”
*선언 : 크게 외치다
자세한 소개
○ 22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상영 일정
- 4월 18일 (목)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5층 이음홀
오전 11시 30분 | 기획시리즈_탈시설 *관객과의 대화(GV)
그럼에도 불구하고(30분) / 지원주택 사람들(21분) / 여기가(27분)
오후 2시 30분 | 섹션1 '잊지마! 원래 내꺼야'
이것도 노동이다(19분) / 우리는 노동자다(31분) / 일로 만난 사이(26분)
오후 6시 | 개막식
개막작 '우리가 함께 부르는 노래'(40분)
- 4월 19일 (금)
마로니에공원 야외무대
오후 12시 | 섹션2 '지옥의 문을 깨부수고'
증언 역사가 된 사람들 '문석영'(19분) / 형제복지원으로 본 한국 수용시설의 역사(25분)
오후 2시 30분 | 초청작 상영 *관객과의 대화(GV)
원더(30분)
오후 8시 | 섹션3 '그럼에도 끄떡없이'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음홀
오전 11시 | 선정작 상영 *관객과의 대화(GV)
나의 세개(31분)
오후 12시 30분 | 개폐막작 상영
개막작. 우리가 함께 부르는 노래(40분) / 폐막작. 주고받은 () : 노력(11분)
오후 2시 | 선정작 상영 *관객과의 대화(GV)
같이 살기(24분) / 소희로부터(30분)
오후 4시 30분 | 연대작 상영 *관객과의 대화(GV)
그레이존(40분) / 별은 알고 있다(70분)
- 4월 20일 (토)
마로니에공원 야외무대
오전 11시 | 섹션4 '나와서 찍는 사람들'
4월 어느 날 패러글라이딩(9분) / 그리운 어머니(16분) / 나의 오후는(4분) / 우리는 말한다(20분) / 해고 노동자 이야기(20분)
오후 1시 30분 | 해외초청작 상영 *관객과의 대화(GV)
기억과의 대화 - 마이너리메이저리티 트래블 - 10년의 검증(60분)
오후 3시 30분 | 선정작 상영 *관객과의 대화(GV)
함께 구르는 기술(25분) / 지금 네 옆에 있어(27분)
오후 6시 | 폐막식
폐막작 '주고받은 () : 노력'(11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