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접근성" 아티스틱 리서치랩 타임라인
2. "접근성" 아티스틱 리서치랩
- 2-1. 프로젝트 〈"접근성" 아티스틱 리서치랩〉
- 2-2. 리서치랩 홀미팅
3. 연구셀 '아인투아인'
- 3-1. 연구모임
- 3-2. "접근성" 위키
- 3-3. "접근성" 현장연구
- 3-4. 연구셀 코멘트
4. 창작셀 '팀 달아나다'
- 4-1. 극본 〈달아나다〉
- 4-2. 연극 〈달아나다〉
- 4-3. 창작셀 코멘트
5. 결과 공유회
- 5-1. 《비무대지대: 드러내거나 넘고 뒤집으며》
- 5-2. 토크 + 에디터톤
6. 기획의 글
별첨: "접근성" 연구모임 발제 자료
『“접근성” 아티스틱 리서치랩 아카이브북』은 문화예술 분야에서 접근성의 개념과 쓰임을 돌아보고, 창작 과정에 접근성을 도입한 프로젝트의 기록이다. 기획자, 연구자, 창작자가 모여 이룬 프로젝트 그룹인 리서치랩은 연구와 창작의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접근성의 작품, 장르 등의 경계를 넘고자 했다.
“접근성” 아티스틱 리서치랩(“Accessibility” Artistic Research Lab)은 접근성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기획자, 연구자, 작가로 이루어진 연구 및 창작 모임으로, 2024년 4월부터 8월까지 연구, 창작, 전시, 워크숍으로 구성되는 예술적 연구(artistic research) 과정을 통해 접근성을 다시 고민하고자 했다. 리서치랩의 이름 중 “접근성”에는 큰따옴표가 붙어 있다. 이는 접근성의 개념을 관성적으로 사용됐던 사회적 맥락에서 떼어내고자 하는 목표에서 비롯된다. 리서치랩은 현장과 보고서에서 몇 가지의 물리적 요소로 편리하게 설명되는 접근성이 실제로는 보다 복잡한 과정이자 태도에 가깝다는 문제의식을 느끼고 출발했다.접근성이 동시대 한국의 예술의 영역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들여다보고, 기획과 창작 과정에서 접근성이 어떻게 적용되어야 할지,관객을 만나는 단계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어야 할지 탐구하고자 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