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집 [접근성 워크숍] 자막해설 제작 실습
진행예정
일정 | 2025년 3월 3일(월) ~ 3월 5일(수) |
|
---|---|---|
관람시간 | 오후 2시~6시 | |
입장료 | 무료 | |
모집인원 | 30명 | |
장소 | 대학로예술극장 중연습실, 소극장 (서울 종로구 대학로10길 17) | |
접수 | 구글폼 접수 | |
주관 |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 |
접근성 정보 |
|
|
SNS | ||
요약설명
[자막해설 제작 실습]
○ 일정: 2025년 3월 3일(월) ~ 3월 5일(수)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총 3회
○ 장소: 대학로예술극장 중연습실, 소극장
○ 대상: 접근성에 관심이 있거나, 자막해설 공연을 준비하는 공연예술인 누구나
○ 인원: 최대 30명
○ 신청 방법
구글폼을 통한 참여 신청(클릭 시 이동)
※ 신청 기간은 2월 17일(월) 오전 10시 ~ 2월 26일(수) 오후 2시까지 입니다!
※ 신청자가 많은 경우에는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수강 대상자께 2월 26일(수) 오후 중 개별 연락을 드립니다.
○ 문의
극장운영팀 이유진 차장
02-3668-0022, kyu114@arko.or.kr
자세한 소개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은 경계 없는 공연예술의 확산을 위해 2021년부터 접근성 공연 제작과 운영 협력, 접근성 워크숍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025년 첫 번째 접근성 워크숍은 [자막해설 제작 실습]입니다.
공연예술 분야에서 자막해설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무엇을 고려하고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다양한 사례 공유와 제작 노하우를 나누고, 오퍼레이팅 실습까지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역량을 쌓는 과정입니다.
모두를 위한, 모든 관객과 더 가까워지기 위한 이번 워크숍에 공연예술인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 프로그램 안내
1회차 | 3월 3일(월) 오후 2시~6시
이론
▶ 자막해설 준비하기① - 권지현, 이청
- 자막해설의 유형부터 운영까지 | 90분
- 자막해설 공연 사례와 제작 노하우 | 60분
▶ 오픈 토크 : 자막해설 공연을 보는 관객의 말 - 다함께
- 플로어 질의응답 포함한 토크 세션 | 60분
2회차 | 3월 4일(화) 오후 2시~6시
이론·실습
▶ 자막해설 제작하기① - 권지현, 이청, 이수림
- 개방형(모니터, 빔프로젝터), 폐쇄형(태블릿) | 100분
▶ 자막해설 운영하기 - 강경호
- 빔프로젝터를 활용한 현장 운용, 매드맵퍼, 캡처보드 등 활용 프로그램 알아보기 | 90분
- 플로어 질의응답 포함한 토크 세션 | 30분
3회차 | 3월 5일(수) 오후 2시~6시
실습
▶ 자막해설 제작하기② - 권지현, 이청, 이수림
- 제작과 오퍼레이팅 연습 | 100분
▶ 자막해설 오퍼레이팅과 피드백 - 다함께
- 개방형(모니터, 빔프로젝터), 폐쇄형(태블릿) | 120분
○ 강사 소개
권지현 | 연출가
보편적극단, 아주 특별한 예술마을의 단원이다. 가끔 연출을 하고, 또 가끔 접근성 매니저로 일하며 연극작업을 하고 있다.
이청 | 배우, 접근성 매니저
하고 싶은 게 많은 예술인(력). 예술이 보다 많은 존재들의 곁에 닿기를 바라며 배우, 접근성 매니저, 자막해설 디자이너, 강연자로 활동하고 있다.
강경호 | 플레이슈터 대표
연출과 무대감독을 거쳐 2016년 플레이슈터를 설립. 2020년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연예술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공연 촬영, 영상 디자인, 무대 음향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