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웹진 이음

편집자가 뽑은 이음온라인 트렌드&정보

트렌드 지금 궁금한 장애예술 소식을 더 가까이

  • 프로젝트 궁리 
  • 등록일 2024-05-29
  • 조회수259

트렌드

장애예술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이음온라인에 들어왔는데, 수많은 콘텐츠 중 어떤 것을 봐야 할지 고민되신다고요? 지금 가장 주목해야 할 소식과 콘텐츠를 소개합니다.

새로운 시도와 도전이 빛이 나

연극 〈젤리피쉬〉 작품개발 쇼케이스5월 22일부터 28일까지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렸습니다. 영국 공연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작가 벤 웨더릴의 작품으로, 2018년 영국 런던 부시 시어터 초연 당시 다운증후군 여성의 사회적 성장과 도전을 유쾌하고 감동적으로 그려내 화제가 된 작품이에요. 백지윤 발레리나가 27세 다운증후군 여성 ‘켈리’ 역을 맡아 처음으로 연극 무대에 도전했습니다. 그리고 이음온라인 기획영상 〈연기가 뭐라GO〉에 참여한 김범진 배우가 ‘도미닉’ 역을 맡아 무대에 올랐어요. 이번 작품개발 쇼케이스는 장애, 비장애 구분 없이 다양성에 초점을 맞춘 다각적인 연습 과정을 공개하는 형태로 관객과 만났어요. 연극 〈젤리피쉬〉의 의미 있는 첫걸음을 함께 해보아요.

고전을 각색해 새로운 도전을 하는 작품도 있어요. 바로 국립극장 기획 〈맥베스〉입니다. 이번 공연에서는 셰익스피어의 시적인 언어로 쓰인 인간의 삶을 한국 수어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해요. 또한 맥베스와 레이디 맥베스를 모두 여성 농인 배우가 맡았다는 점 역시 눈에 띄어요. 6명의 농인 배우와 4명의 소리꾼이 참여해, 원작과 전혀 다른 모습으로 관객을 찾아갈 예정이랍니다. 공연에 참여하는 박지영, 김우경 배우는 웹진이음에서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요. 이들의 연기를 직접 볼 수 있는 기회! 6월 13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만날 수 있어요.

작품성과 예술성, 모두 보장합니다

앞서 소개한 신작들에 이어, 재연으로 돌아온 작품도 있어요. 바로 연극 〈인정투쟁; 예술가 편〉인데요. 2019년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작으로, 5년 만에 다시 돌아왔어요. 작품에서는 한 예술가가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떠나는 ‘여정’을 통해서 무대와 객석, 예술가의 권리 획득 과정을 들여다봐요. 배우들은 ‘나’의 내면에서 여러 줄기로 갈라지는 목소리를 연기해요. 재연의 객석 구조는 무대를 둘러싼 형태로, 배우 각자의 몸이 갖는 고유성이 관객에게 더 잘 보이게 하려고 바꿨다고 해요. 강보람, 하지성, 백우람, 김지수, 김원영 배우 등 웹진이음의 필자로 참여하거나 인터뷰를 진행했던 배우들이 다수 출연하니, 그들의 이야기도 살펴보고 공연을 관람하는 건 어떨까요?

자폐성장애, 지적장애, 뇌병변장애 등 서로 다른 유형의 장애가 있는 청년 연주자 4명으로 구성된 국악연주단 땀띠가 20주년을 맞이했어요. 그들의 신명 나는 20주년 공연, 〈땀띠 날다 20년〉이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5월 31일부터 사흘간 펼쳐질 예정입니다. 강산이 두 번 바뀐 세월 동안 변함없이 음악을 계속해 온 땀띠의 활동과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지난 2020년에 진행한 웹진이음의 인터뷰를 확인하세요!

장애예술, K-팝에 진출하다

지난 4월 20일 장애인의 날, 국내 첫 청각장애인 아이돌 ‘빅오션’이 데뷔했어요. 1세대 아이돌 ‘H.O.T’의 대표곡인 〈빛〉을 리메이크한 데뷔곡을 수어 안무와 함께 선보이며 큰 화제를 모았어요. 데뷔하던 날의, 긴장과 설렘 가득한 빅오션 멤버들의 모습을 보며 빅오션에게 ‘입덕’하게 될지도 몰라요
└영상 보러가기: 청각장애인 아이돌 ‘빅오션’이 데뷔하던 날(Kpop Idol BIG OCEAN)

꾹꾹 눌러 담은 정보와 지식

작년 12월, 제주아트플랫폼에서 열린 장애예술축제 턴(TURN)의 강연 프로그램 영상이 공개됐어요. 그중 2023년 이음리뷰클럽 멤버로 활동한 이승규 배우의 강연 영상을 준비했어요. 이승규 배우가 현장에서 직접 느낀 장애예술에 관한 이야기, 장애예술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들어보아요.
└ 영상 보러가기: [강연] 장애예술, 진화의 시기!(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리움미술관에서도 2023년 접근성 프로그램 《감각 너머》에서 ‘공간과 감각’을 주제로 워크숍과 포럼을 진행했어요. 이 과정을 엮은 책 『경험으로서 미술관』이 발간되었어요. 전시, 미술작품에 다가서기 어려웠던 관객들을 미술관으로 초대해 공간을 보고, 듣고, 만지고, 상상해본 경험을 나눈 이야기가 담겨있어요. 전시 접근성에 대해 궁금한 점, 고민되는 지점이 있다면 꼭 읽어보세요.
└ 자료 보러가기: 감각 너머 포럼 총서1 『경험으로서 미술관』(리움미술관)

2022년에 진행한 ‘므브프’의 워크숍 〈건네는 진동〉의 현장을 담은 영상이에요. 므브프는 들리는 것이 자연스러운 사람 백구와 들리지 않는 것이 자연스러운 사람 은설이 만나서 보이는 소리, 촉각적인 진동, 감각을 찾는 움직임에 대해 실험하는 프로젝트예요. 여러 가지 종류의 ‘진동’을 건네며 느낀 것들, 사물과 진동과 관계 맺는 방식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 워크숍 현장을 만나보아요.
└영상 보러가기: 므브프: 건네는 진동

이음온라인 홈페이지에는 오늘 소개해드린 소식 외에도 흥미롭고 유익한 장애예술 정보들이 매일매일 업데이트되고 있어요. 이번 정보가 도움이 됐다면, 더 재미있는 장애예술 정보를 알고 있다면, 더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여러분이 찾은 이음온라인 속 핫하고 힙한 정보는 무엇인가요? 장애예술과 더 가까워지는 시간, 함께해요!

정리.박희연 프로젝트 궁리 에디터 teph__y@naver.com

2024년 6월 (53호)

상세내용

트렌드

장애예술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이음온라인에 들어왔는데, 수많은 콘텐츠 중 어떤 것을 봐야 할지 고민되신다고요? 지금 가장 주목해야 할 소식과 콘텐츠를 소개합니다.

새로운 시도와 도전이 빛이 나

연극 〈젤리피쉬〉 작품개발 쇼케이스5월 22일부터 28일까지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렸습니다. 영국 공연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작가 벤 웨더릴의 작품으로, 2018년 영국 런던 부시 시어터 초연 당시 다운증후군 여성의 사회적 성장과 도전을 유쾌하고 감동적으로 그려내 화제가 된 작품이에요. 백지윤 발레리나가 27세 다운증후군 여성 ‘켈리’ 역을 맡아 처음으로 연극 무대에 도전했습니다. 그리고 이음온라인 기획영상 〈연기가 뭐라GO〉에 참여한 김범진 배우가 ‘도미닉’ 역을 맡아 무대에 올랐어요. 이번 작품개발 쇼케이스는 장애, 비장애 구분 없이 다양성에 초점을 맞춘 다각적인 연습 과정을 공개하는 형태로 관객과 만났어요. 연극 〈젤리피쉬〉의 의미 있는 첫걸음을 함께 해보아요.

고전을 각색해 새로운 도전을 하는 작품도 있어요. 바로 국립극장 기획 〈맥베스〉입니다. 이번 공연에서는 셰익스피어의 시적인 언어로 쓰인 인간의 삶을 한국 수어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해요. 또한 맥베스와 레이디 맥베스를 모두 여성 농인 배우가 맡았다는 점 역시 눈에 띄어요. 6명의 농인 배우와 4명의 소리꾼이 참여해, 원작과 전혀 다른 모습으로 관객을 찾아갈 예정이랍니다. 공연에 참여하는 박지영, 김우경 배우는 웹진이음에서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요. 이들의 연기를 직접 볼 수 있는 기회! 6월 13일부터 6월 16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만날 수 있어요.

작품성과 예술성, 모두 보장합니다

앞서 소개한 신작들에 이어, 재연으로 돌아온 작품도 있어요. 바로 연극 〈인정투쟁; 예술가 편〉인데요. 2019년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작으로, 5년 만에 다시 돌아왔어요. 작품에서는 한 예술가가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떠나는 ‘여정’을 통해서 무대와 객석, 예술가의 권리 획득 과정을 들여다봐요. 배우들은 ‘나’의 내면에서 여러 줄기로 갈라지는 목소리를 연기해요. 재연의 객석 구조는 무대를 둘러싼 형태로, 배우 각자의 몸이 갖는 고유성이 관객에게 더 잘 보이게 하려고 바꿨다고 해요. 강보람, 하지성, 백우람, 김지수, 김원영 배우 등 웹진이음의 필자로 참여하거나 인터뷰를 진행했던 배우들이 다수 출연하니, 그들의 이야기도 살펴보고 공연을 관람하는 건 어떨까요?

자폐성장애, 지적장애, 뇌병변장애 등 서로 다른 유형의 장애가 있는 청년 연주자 4명으로 구성된 국악연주단 땀띠가 20주년을 맞이했어요. 그들의 신명 나는 20주년 공연, 〈땀띠 날다 20년〉이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5월 31일부터 사흘간 펼쳐질 예정입니다. 강산이 두 번 바뀐 세월 동안 변함없이 음악을 계속해 온 땀띠의 활동과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지난 2020년에 진행한 웹진이음의 인터뷰를 확인하세요!

장애예술, K-팝에 진출하다

지난 4월 20일 장애인의 날, 국내 첫 청각장애인 아이돌 ‘빅오션’이 데뷔했어요. 1세대 아이돌 ‘H.O.T’의 대표곡인 〈빛〉을 리메이크한 데뷔곡을 수어 안무와 함께 선보이며 큰 화제를 모았어요. 데뷔하던 날의, 긴장과 설렘 가득한 빅오션 멤버들의 모습을 보며 빅오션에게 ‘입덕’하게 될지도 몰라요
└영상 보러가기: 청각장애인 아이돌 ‘빅오션’이 데뷔하던 날(Kpop Idol BIG OCEAN)

꾹꾹 눌러 담은 정보와 지식

작년 12월, 제주아트플랫폼에서 열린 장애예술축제 턴(TURN)의 강연 프로그램 영상이 공개됐어요. 그중 2023년 이음리뷰클럽 멤버로 활동한 이승규 배우의 강연 영상을 준비했어요. 이승규 배우가 현장에서 직접 느낀 장애예술에 관한 이야기, 장애예술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들어보아요.
└ 영상 보러가기: [강연] 장애예술, 진화의 시기!(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리움미술관에서도 2023년 접근성 프로그램 《감각 너머》에서 ‘공간과 감각’을 주제로 워크숍과 포럼을 진행했어요. 이 과정을 엮은 책 『경험으로서 미술관』이 발간되었어요. 전시, 미술작품에 다가서기 어려웠던 관객들을 미술관으로 초대해 공간을 보고, 듣고, 만지고, 상상해본 경험을 나눈 이야기가 담겨있어요. 전시 접근성에 대해 궁금한 점, 고민되는 지점이 있다면 꼭 읽어보세요.
└ 자료 보러가기: 감각 너머 포럼 총서1 『경험으로서 미술관』(리움미술관)

2022년에 진행한 ‘므브프’의 워크숍 〈건네는 진동〉의 현장을 담은 영상이에요. 므브프는 들리는 것이 자연스러운 사람 백구와 들리지 않는 것이 자연스러운 사람 은설이 만나서 보이는 소리, 촉각적인 진동, 감각을 찾는 움직임에 대해 실험하는 프로젝트예요. 여러 가지 종류의 ‘진동’을 건네며 느낀 것들, 사물과 진동과 관계 맺는 방식에 관한 이야기를 나눈 워크숍 현장을 만나보아요.
└영상 보러가기: 므브프: 건네는 진동

이음온라인 홈페이지에는 오늘 소개해드린 소식 외에도 흥미롭고 유익한 장애예술 정보들이 매일매일 업데이트되고 있어요. 이번 정보가 도움이 됐다면, 더 재미있는 장애예술 정보를 알고 있다면, 더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여러분이 찾은 이음온라인 속 핫하고 힙한 정보는 무엇인가요? 장애예술과 더 가까워지는 시간, 함께해요!

정리.박희연 프로젝트 궁리 에디터 teph__y@naver.com

2024년 6월 (53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의 조건에 따라 이용이 가능합니다.

댓글 남기기

2024-05-31 21:33:20

비밀번호

작성하신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정리가 정말 깔끔하게 잘 되어있어서 좋네요! 여러가지 정보들 잘 알아갑니다! 함께 보기 좋은 콘텐츠들까지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어서 너무 좋네요~

2024-05-31 14:05:22

비밀번호

작성하신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눈에 쏙쏙 들어오는 내용들이 알기쉬워요 덕분에 좋은 정보들 알아갑니다^^

2024-05-29 16:40:06

비밀번호

작성하신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이번 젤리피쉬 쇼케이스를 정말 흥미롭게 관람했는데 이 글을 읽고 맥베스 공연도 궁금해져서 보러 가려고요! 정리해주신 다른 콘텐츠들도 한번씩 봐야겠어요ㅎㅎ 좋은 컨텐츠들 이렇게 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주셔서 정말 유익한 글이에요. 감사합니다!

제 2021-524호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 접근성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 1.업체명: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2.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고 112 3.웹사이트:http://www.ieum.or.kr 4.유효기간:2021.05.03~2022.05.02 5.인증범위:이음 온라인 홈페이지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47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제5항에 따라 위와 같이 정보통신접근성 품질인증서를 발급합니다. 2021년 05월 03일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